반응형

[MariaDB] 마리아DB (CentOS 8) Linux에 설치 후 접속하기

 

CentOS 8에서는 yum list에 기본적으로 mariadb-server가 존재합니다. (yum update 후에 조회해보세요)

CentOS 8 yum list

 

yum으로 mariadb-server를 설치해줍니다.

( # yum install mariadb-server )

yum 마리아db 설치

 

systemctl로 마리아DB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현재 상태는 dead 상태고, 재부팅시 자동시작도 disabled 상태입니다.

 systemctl status mariadb.service

 

마리아DB를 재부팅시 자동시작되도록 enable 시켜주고, start도 시켜줍니다.

( # systemctl enable mariadb )

( # systemctl start mariadb.service )

systemctl status mariadb.service

 

외부에서 마리아DB에 접속 할 수 있도록 방화벽에서 마리아DB 포트를 허용으로 추가해주고 리로드합니다.

마리아DB의 기본포트는 3306입니다.

( # firewall-cmd --permanet --add-port=3306/tcp )

( # firewall-cmd --reload)

방화벽 허용포트 추가

 

 

다음은 마리아DB의 기본보안설정을 해줍니다. 

Set root password? 에서는 Y를 해주시고 root의 비밀번호를 설정해주시기 바랍니다.

Disallow root login remotely? 에서는 원격지에서 root를 사용할거라면 n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 # mysql_secure_installation )

mysql_secure_installation

 

이제 마리아DB에 root로 접속을 해봅니다. 비밀번호는 위에서 설정한 root의 비밀번호를 넣어주면 됩니다.

( # mysql -u root -p )

마리아DB 접속

 

다른PC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GRANT로 root계정에 %접속지를 추가해줍니다.

flush privilees; 는 변경사항을 즉시 적용해줍니다.

( # GRANT ALL PRIVILEGES ON *.* TO root@'%' identified by 'root의비밀번호'; )

( # flush privileges; )

외부 접속을 위해 GRANT 추가

만약, 외부(PC)에서 root로 접속하여 GRANT를 사용해야 할 경우가 있다면 위에서 root@'%'권한을 추가할때 root 비밀번호 뒤에(끝부분) WITH GRANT OPTION을 추가해야만 합니다.

( # GRANT ALL PRIVILEGES ON *.* TO root@'%' identified by 'root의비밀번호' WITH GRANT OPTION; )

 

다음은 마리아DB에서 한글이 정상 출력될 수 있게 mariadb-server.cnf 파일 하단에 아래 내용을 추가해줍니다.

( # vi /etc/my.cnf.d/mariadb-server.cnf )

init_connect = "SET collation_connection = utf8_general_ci"
init_connect = "SET NAMES utf8"
character-set-server = utf8
collation-server = utf8_general_ci
skip-character-set-client-handshake
lower_case_table_names=1

mariadb-server.cnf 내용추가

 

이후 마리아DB를 재시작해줍니다.

( # systemctl restart mariadb.service)

마리아DB 재시작

 

이제 외부PC인 윈도우10에서 서버정보를 입력하고 접속을 해 봅니다.

외부에서 접속
정상접속 화면

 

 

[MariaDB] 전체보기

 

'MariaDB' 카테고리의 글 목록

전산 관련 경험을 기록 하는 곳

reddb.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MariaDB] 마리아DB 다운로드 및 (Windows) 윈도우에 설치 후 접속하기

 

MariaDB 윈도우 버전을 다운 받아 Windows server 2019 64bit에 설치해보겠습니다. (설치방법은 PC용 windows10과도 별차이 없습니다)

 

먼저 마리아DB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운영체제에 맞는 마리아DB설치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저는 현재시점(2020-08-23) 가장 최신버전이면서 stable버전인 MariaDB 10.5.5 Stable(2020-08-10)으로 설치하겠습니다. (IE로 접속 할 경우 파일리스트가 안뜨는 경우가 있으니 크롬이나 엣지로 접속하시기 바랍니다)

 

MariaDB 10.5.5 Stable - MariaDB

 

downloads.mariadb.org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MSI Package 파일인 "mariadb-10.5.5-winx64.msi"를 클릭하고 다운합니다.

MariaDB Download

 

다운로가 완료되면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를 시작합니다.

마리아DB 설치

 

라이선스 정책에 동의하고 넥스트를 클릭합니다.

마리아DB 라이선스정책

 

커스텀 셋업페이지에서는 마리아DB의 설치 폴더 위치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서버로만 이용하기 위해 MariaDB 서버만 설치할건지, 아니면 서브파티 툴(HeidiSQL)까지 설치할건지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서버에 DB를 이미 설치했고 PC에서 서드파티툴로 HeidiSQL만 설치하고자 한다면 여기서 서드파티툴만 선택하시면 됩니다.

마리아DB 커스텀 셋업

 

다음은 유저 세팅화면입니다. 루트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원격으로 마리아DB에 접속하실 경우 root로 접속을 허용하실거라면 2번째 체크박스도 체크하셔야 합니다.3번째 체크박스는 한글의 원활한 입력을 위해 체크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마리아DB 유저세팅

 

다음은 데이터베이스 세팅화면입니다.

마리아DB가 윈도우에 서비스로 등록될 때 사용할 이름을 설정합니다.

TCP 포트도 변경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3306으로 사용하는데 보안이 중요한 DB일 경우 포트를 변경하셔도 됩니다. (MySQL도 기본포트를 3306으로 사용합니다. MySQL에서 3306포트를 쓰도록 이미 설치된 서버에서는 반드시 MariaDB 기본포트를 다른것으로 변경하셔야 합니다.)

마리아DB 세팅

 

이제 인스톨을 클릭해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완료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치진행
설치완료

 

윈도우 "작업관리자에-서비스탭"에 MariaDB가 실행 중인 것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작업관리자 서비스 MariaDB

 

또한, "서비스"에서 보면 시작유형이 자동으로 되어있는 것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서버 재부팅시 자동으로 MariaDB서비스가 시작됨을 의미합니다.

서비스 MariaDB

 

이제 MariaDB에 접속해 보겠습니다.

윈도우버튼을 클릭 후 MariaDB 폴더를 찾아 HeidiSQL을 실행합니다.

MariaDB 설치완료

 

아직 어떠한 DB도 접속한 기록이 없는 상태의 화면이 뜹니다. 이때 신규를 클릭합니다.

HeidiSQL 첫 접속화면

 

세션이름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원하시는 세선명으로 이름을 바꿔줍니다.

암호란에는 MariaDB 설치하며 root 암호로 설정했던 그 암호를 넣어 줍니다.

이후 열기를 클릭합니다.

세션관리자

 

세션이름을 "reddb_tistory"로 변경한 DB에 접속된 상태입니다.

MariaDB 접속

 

쿼리 탭에서 쿼리를 입력 후 F9번을 클릭하거나 메뉴바에 실행버튼을 클릭하면 정상작동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쿼리 입력

 

CMD에서도 MariaDB에 접속이 가능합니다.

환경변수(PATH)를 설정해주시면 어떤 폴더에서도 mysql 명령어가 사용가능하겠지만 환경변수가 귀찮으신 분들께서는 MariaDB가 설치되어있는 폴더 아래 bin폴더로 이동하셔서 "mysql -y root -p" 명령어를 입력 하시고 root의 비밀번호를 넣어주시면 마리아DB에 접속이 됩니다.

cmd로 MariaDB 접속

 

 

[MariaDB] 전체보기

 

'MariaDB' 카테고리의 글 목록

전산 관련 경험을 기록 하는 곳

reddb.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Adfit]애드핏 관리자정지

 

구글 애드센스에 이어 카카오 Adfit(애드핏)도 관리자정지를 당했습니다.

사유는 제가 약관을 어기고 이런저런 테스트를 했기에 정지됐을겁니다.

의심의 여지도, 변명의 여지도 없습니다.

Adfit(애드핏) 관리자정지의 과정과 제가 했던 테스트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또한 테스트로 확인해본 애드핏 광고 노출과 수익관련 내용도 함께 말씀드리겠습니다.

 

어제 애드핏으로부터 온 계정 관리자정지 메일입니다.

kakaoAdfit 관리자정지 안내 메일

 

처음 메일 받았을때는 올게 왔구나 생각하긴 했습니다.

제가 위반한 "AdFit(애드핏) 서비스" 운영정책 5.4 이용제한 조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애드핏 무효처리되는 활동

 

저는 아마도 "방문자" 현황 대비 비정상적인 광고 노출이 의심되어 관리자 정지를 당했을 겁니다.

제가 했던 테스트는 다음 애드핏이 30초마다 새로운 광고가 노출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24시간 웹브라우저에서 광고를 많은 수로 노출했을때 일간 수익이 얼마나 벌리게 되는지를 테스트했습니다.

 

그 테스트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애드핏 수익

 

애드핏 수익을 완벽히 공개할수 없어 앞자리, 뒷자리들을 삭제했습니다.(예상수익에 보이는 숫자는 모두 백원단위 입니다)

12, 13일을 비교해보시면 광고노출수가 최고치인 두날 입니다. 광고노출수는 13일이 높지만 예상적립금은 12일이 높은게 확인됩니다. 혹시 12일 클릭 1건이 영향을 미친게 아닐까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16, 17일을 비교해보시면 클릭수는 같고 광고노출수는 16일이 높지만 예상적립금은 오히려 17일이 높게 나왔습니다. 

테스트를 해본결과 노출이건 클릭이건 많을 수록 예상적립금이 올라가긴 올라갑니다. 다만, 그것 외에도 다른 계산 방법이 있는 듯 합니다.

 

이렇게 방문자 대비 비정상적으로 높은 광고노출수로 결국 19일에 제 계정이 관리자정지를 당하게 되었습니다.

 

블로그에 광고수익은 너무 미비하고 딱히 광고때문에 블로그를 하고 있는것도 아니어서 크게 상심하진 않았지만 궁금한점이  있었습니다.

kakaoAdFit은 관리자정지를 당하면 어떻게 해야 정지가 풀리는지에 대한 의문이었습니다.

 

먼저 구글과는 다르게 kakao는 대화의 통로를 열어두었고 빠른답변을 해준다는 장점을 가진 곳 입니다.

"제가 애드핏 사용 규칙을 인지하지 못하고 이용하다 관리자 정지를 당했습니다. 정지를 풀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라고 1:1 문의를 넣었습니다.

 

바로 다음날 매일로 답변이 왔습니다.

애드핏 관리자정지 기간 안내

 

답변 메일 내용에는 기본적으로 관리자 정지 기간은 약 한 달 정도라고 합니다.

다만, 추후 검토 현황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다고 합니다.

메일 내용은 그러하지만, 정지를 풀어주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저는 애드센스 광고 제한을 겪으며 오히려 블로그를 하는데 다른 사람들을 의식하지 않고 오롯이 블로그에만 집중하고 내가 원하던 그런 글을 작성하게 되어 글쓰는데 오히려 더 집중이 되었습니다. 

광고가 크게 돈이 되지도 않는데 왜 그렇게 많은 횟수와 많은 시간을 광고 노출 확인등에 허비했는지 모를정도였습니다.

그만큼 블로그에 대한 집중도와 글쓰기는 등한시 되었죠.

 

이제 카카오 애드핏까지 없어진 제 블로그는 제가 만들어 놓은 내용만이 화면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제가 처음에 만들고자 생각했던 블로그가 이런 모습이었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시간이 지나면 광고는 다시 달리겠지만, 이제는 광고는 최대한 줄이고 가치있는 정보를 담아 그 정보를 필요로 하는 다른이들에게 제공되는 그런 블로그로 만들어 나가려 합니다. 특히, 애드핏은 안하려구요.

 

반응형
반응형

KI Pass (전자출입명부) QR코드 사용법 (카카오톡)

 

코로나19 확산으로 공공기관 및 집단시설 이용 시 KI Pass (전자출입명부) QR코드를 찍는 것으로 본인의 인적사항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사용방법은 먼저 스마트폰에서 카카오톡을 실행합니다. 이후 아래 순서대로 클릭을 합니다.

  1. 카카오톡 하단에 "#" 클릭
  2. 상단에 "#코로나19" 클릭
  3. 중단에 "QR 체크인" 클릭

카카오톡 KI pass

 

이후 개인정보 관련 동의 창에서 "모두 동의합니다" 체크박스를 를 체크하고 "동의"를 클릭합니다.

개인정보 동의

 

핸드폰번호 인증창이 뜨면 "인증요청"을 클릭합니다.

휴대폰 인증

 

인증번호가 SMS로 오면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휴대폰 인증

 

QR코드가 발급되어 스마트폰 화면에 발급이 되면 카메라에 인식을 시키시면 됩니다. 시간이 짧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KI Pass QR코드

 

반응형
반응형

라즈베리파이4 WordPress 워드프레스 외부에서 접속 (워드프레스 6편)

 

앞선 포스팅에서 워드프레스 설치는 완료되었습니다.

이제는 외부에서 사람들이 내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방법과 외부에서 내 홈페이지 관리자페이지에 접속해서 글을 작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한국 가정 or 소규모 회사의 일반적인 IPTIME 인터넷 공유기 구성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외부에서 인터넷 브라우저를 열고 주소창의 나의 IPTIME 공유기의 외부아이피 주소를 입력합니다.

2. 외부에서 브라우저로 내 IPTIME공유기로 들어오게되면 기본적으로 80포트로 들어오게 됩니다.

3. 외부에서 80포트로 들어온 연결을 IPTIME은 라즈베리파이IP 80포트로 연결시켜줍니다.

4. 라즈베리파이는 80포트로 받은 연결에 홈페이지를 띄워줍니다.

 

단순히 설명하자면 외부에서 공유기를 통해 라즈베리파이IP의 80포트로 접속하게 만들어주는 겁니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먼저 IPTIME 공유기의 외부 아이피를 알아야 합니다.

공유기의 설정페이지(기본 192.168.0.1)에서 확인이가능하고 더 쉬운 방법은 네이버에서 "내 아이피"로 검색해도 나옵니다.

네이버 내 아이피 검색

 

다음은 IPTIME 외부 아이피 80포트로 들어온 연결을 라즈베리파이로 포트포워딩도 해줘야 합니다. IPTIME 설정페이지에 들어가서 고급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포트포워드 설정

 

빈칸 4곳을 아래와 같이 채워줍니다.

포트포워딩 포트포워딩 설정 값 입력설정 값 입력

 

  • 규칙이름 : http (원하시는 이름) 

  • 내부IP주소 : 라즈베리파이에 할당된 아이피 192.168.xxx.xxx 입력

  • 외부포트 : 80 

  • 내부포트 : 80

적용을 클릭 합니다.

 

 

이제 외부에서 브라우저를 열고 내 IPTIME 공유기의 외부주소를 입력합니다. (위 네이버에서 검색한 주소)

스마트폰 4G로 접속한 화면

 

외부 IP주소 뒤에 /wp-login.php를 붙이면 관리자페이지 로그인 화면으로도 접속이 가능합니다.

스마트폰 4G로 접속한 화면

 

IPTIME의 경우 DDNS를 제공합니다. 설정을 하시면 숫자로된 IP가 아닌 DNS로 접속이 가능하고 공유기 재부팅등으로 IP가 변경되어도 DNS는 변경되지 않아 접속이 편리합니다. 사용방법은 이전에 포스팅했던 자료를 링크하겠습니다.

 

라즈베리파이4 공유기 DDNS 설정하고 DNS로 접속 하기

 

라즈베리파이4 공유기 DDNS 설정하고 DNS로 접속 하기

라즈베리파이4 공유기 DDNS 설정하고 DNS로 접속 하기 iptime 공유기는 기본적으로 DDNS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DDNS는 실시간으로 DNS를 갱신하는 방식입니다. 집의 공유기가 재부팅 등으로 IP가 유

reddb.tistory.com


IPTIME에서 설정한 DNS 주소로 접속한 화면입니다.

주소창이 DNS 입력으로 접속하기

 

 

라즈베리파이 전체보기

 

'라즈베리파이' 카테고리의 글 목록

전산 관련 경험을 기록 하는 곳

reddb.tistory.com

반응형